지난 14일 일본은행은 ‘물가 상승 목표’를 1%로 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디플레이션 극복’을 우선으로 한 정부의 요구를 받은 뒤, 전보다 한층 높은 2%로 수치 조정을 했다.
이로써 일본은행의 금융정책은 큰 전환점을 맞이했다고 <시사통신> 및 NHK 등 일본 방송은 보도했다.
이번 일본은행의 추가 금융완화는 지난해 12월에 이은 2개월 연속 금융완화 조치이다. <요미우리신문>은 이것이 2003년 5월 이후 약 9년 8개월만이라고 전했다.
공동 성명에는 일본은행의 금융완화에 부응해 정부는 성장 전략을 추진하고, 중장기 재정 건전화에 노력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세계의 많은 나라가 ‘물가 상승 목표’를 도입
이미 중국, 유럽은 ‘물가 상승 목표’를 도입하고 있다. 그동안 일본과 미국은 도입하지 않고 있었다.
하지만 2012년 1월 미국이 2% ‘물가 상승 목표’를 도입한 데 이어, 일본도 같은해 2월 14일 처음으로 ‘물가 상승 목표’를 도입했다.
일본은행은 이를 두고 ‘인플레이션타깃’이 아니라 ‘중기적인 물가안정의 목표’라고 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물가를 조정하는 것이므로, 사실상 ‘물가 상승 조절’이다. 경기가 악화돼 디플레이션이 지속된 일본의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 본격적인 액션을 취했다고도 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타깃의 도입이 주식시장에 주는 영향은?
인플레이션타깃을 도입하게 되면 목표달성을 위한 경제대책을 세우기 쉬워진다. 경기 악화가 계속될 경우, 물가 상승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일본은행이 경기 대책을 펼쳐서 경기가 좋아지도록 하는 움직임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이미 일본은 제로금리정책을 실시하고 있기에, 이 이상 금리를 내리는 것은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다. 때문에 양적 완화 정책 금융기관에서 국채나 어음을 사서 자금을 시장에 내놓는 정책을 펴서 경기 대책을 세우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물가 상승 목표’(인플레이션타깃)란?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등의 물가를 조정하는 것은, 중앙은행의 중요한 역할의 하나다. ‘물가 상승 목표’라 함은, 물가의 상승률을 연간 몇%로 할지 목표를 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명확한 ‘물가 상승 목표’를 정하는 것은 이 수치에 맞추어 경제 정책을 정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양적 완화 정책을 세우면, 시장에 돈이 흘러들어서 경기의 순환이 좋아지므로 경기가 호전한다고 말해진다. 즉, 돈이 시장에 흘러나오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다. 인플레이션타깃의 도입은 주식시장으로서는 호재이다.
단지 ‘돈’이 너무 많이 흘러나왔을 경우, 거품경제와 과잉유동성거래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단기적으로는 주식시장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나, 그 상승이 언제 끊길지 모른다는 것이다.
<김형훈 기자 / 저작권자 ⓒ 미디어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카][지][노]━━▶sok770.com ◀━━
◆◆◆◆[생][방][송]━━▶sok770.com ◀━━
◆◆◆◆[입]출금3분]━━▶sok770.com ◀━━
◆◆◆◆[간]편 가편]━━▶sok770.com ◀━━
◆◆◆◆[무]료 체험]━━▶sok770.com ◀━━
◆◆◆◆[상]담 24시]━━▶sok770.com ◀━━
◆◆◆◆[첫입금 10%]━━▶sok770.com ◀━━
◆◆◆◆[보너스sok770.com머니]━━▶sok770.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