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를 여는 사람들] 6.4 동시지방선거를 앞둔 제주도선관위 강순후 홍보과장
4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6.4 지방선거. 다른 여느 이들보다 바쁘게 보내는 이들이 있다. 선거만큼은 ‘포청천’이어야 하는 선거관리위원회 직원들이다. 특히 선거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홍보를 맡아야 하는 제주특별자치도선거관리위원회의 강순후 홍보과장(48)은 공정성 확보에 늘 신경이 쓰인단다.
그는 지난 1991년 선관위에 발을 디뎌 부산 강서구선관위 사무국장과 제주도선관위 지도과장 등을 거쳤다. 그가 선관위에 들어올 때와 현재는 세월의 변화만큼이나 업무도 많이 바뀌었다. 그러나 바뀌지 않은 건 있다. 여전히 불법은 안된다는 점이다.
“전에는 선관위에 조사권이 없었죠. 단순한 단속업무 차원이었습니다. 그러다가 인력도 늘어나고 불법현장을 예방·감시하는 업무가 전문화되면서 행정조사권도 일부 갖게 됐어요. 그러다보니 부담도 있습니다. 권한을 남용해서는 안되죠.”
그는 선관위 직원들의 고통 아닌 고통을 풀어내기도 했다. 제주도 사회는 지연·학연 등으로 얽혀 있기 때문일테다.
“안되는 건 안된다고 얘기를 합니다. 그러기에 몸조심, 말조심을 해야죠. (알고 있는 이들을) 고발조치 할 때 안타깝죠. 그러나 선거의 공정성을 위해서는 그런 조치를 할 수밖에 없어요. 사전에 조심하고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했으면 해요.”
그가 선거현장을 지킨 건 숱하다. 세월의 변화 추세에 맞춰 선거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은 높아졌으나 상대적으로 불신도 쌓이게 마련이다. 그는 그런 불신의 결과는 ‘갈등’이라며 아쉬워했다.
제주사회는 현안이 산적해 있다. 1000만명 관광객 돌파라는 기쁜 소식이 있는가 하면 환경파괴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한 둘이 아니다. 그러나 제주사회는 ‘선거’에만 매달려 있는 분위기이다. 강순후 홍보과장은 올해 선거를 통해 어떤 희망을 바라볼까. 그는 선거가 ‘축제’여야 함을 강조했다.
“선거를 통해 최선은 아니더라도 사회적 합의를 통해 산적한 과제들이 해결되길 바라죠. 유권자들은 연고중심의 선거가 아닌, 능력과 공약 등을 잘 살폈으면 해요. 후보자들도 지킬 수 있는 공약을 제시했으면 합니다. 축제 분위기를 만들기 위한 노력은 선관위 직원들의 몫이지만요.”
특히 올해는 ‘사전선거제’가 도입된다. 사전선거는 선거일 5일 전인 오는 5월 30일과 31일 이틀간 진행된다. 강순후 과장은 바뀐 선거제도에 대한 홍보도 잊지 않았다.
“예전엔 부재자신고를 해야 했죠. 올해는 출장을 가거나 여행을 갈 경우 사전에 투표를 하면 됩니다. 신고를 하지 않아도 돼요. 이틀간 각 읍면동에 투표소를 설치해 둘 거예요. 제주에 여행온 이들도 그날 사전선거를 할 수도 있어요.”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선거관련 문의가 이어진다. 혹시나 법에 저촉되지 않을까라는 우려에서다. 공정한 게임이 이뤄지고, 선거를 통해 제주의 산적한 문제들이 해결되길 바라는 건 강순후 과장만의 바람은 아닐테다.
<김형훈 기자 / 저작권자 ⓒ 미디어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미디어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