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3-29 00:04 (금)
과잉생산 채소류 해결책은 없는가?
과잉생산 채소류 해결책은 없는가?
  • 이한권
  • 승인 2007.01.30 14: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별기고] 이한권 제주특별자치도 친환경농업과장

요즘 우리도의 월동채소류가 소비부진과 가격하락 등으로 처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여름부터 무더운 날씨에도 구슬땀을 흘리며 자식처럼 가꿔왔던 농산물을 처리하는 농업인들의 아픈 심정을 어찌 다 헤아릴 수 있을 것인가.

우리 도의 월동채소류는 겨울철 따뜻한 기후여건으로 대부분 노지포장에서 월동이 가능하다. 그래서 추운 겨울에도 신선한 상태로 시장에 직접 출하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량이 다소 증가되어도 시장 차별화가 가능하고 육지부의 기습한파 등 기상여건이 나빠지는 경우는 소득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최근 겨울철 기온이 상승되면서 우리와 같은 월동채소류가 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재배가 확대되면서 전국적인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결국 우리 도의 경쟁력은 떨어지고 있을 뿐 아니라 과잉생산에 대한 문제가 매년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농산물시장의 급속히 변화되면서 국내 농산물 유통시장은 점점 좁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분들은 대부분 적정생산을 위한 생산조정과 소비자가 찾는 고품질생산이라고 하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을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견들이 많다.

현재 농산물 유통환경은 물량이 부족하거나 가격이 비싸면 금방이라도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을 뿐 아니라, 우리 농산물보다 품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새로운 상품들이 시장을 위협하고 있다.

이처럼 불확실한 상황에서 과잉생산을 예방하고 고품질을 생산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우리의 생존을 지키고 미래를 대비하는 제주농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서로가 이마를 맞대고 많은 궁리를 해야 한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해결방안은 산지의 조직화이다, 지역과 품목에 따라 생산농가, 영농법인, 생산자단체 등에서 생산량을 조정하고 상품을 잘 만들 수 있는 조직을 만드는 것이다.

이제는 농가 개별적으로 생산하고 상품화하는 방식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산지의 조직화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이다. 따라서 산지별 공동마케팅체제를 구축하면서 전국적인 조직화와 규모화를 통하여 시장상황에 따라서 수급 물량과 가격을 조정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런 조직화의 중심은 생산자단체, 영농법인, 유능한 농가도 될 수 있으며 어느 한 가지 방식만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늦은 감은 있지만 지금부터라도 우리 모두 다같이 어려움에 처하고 있는 제주농업의 위기를 극복해 나갈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 한다.

이한권 제주특별자치도 친환경농업과장

#외부원고인 특별기고는 미디어제주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