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16 17:57 (화)
제주 풍력발전 연이은 착공 ... 보급은 과다, 문제 해결은 요원
제주 풍력발전 연이은 착공 ... 보급은 과다, 문제 해결은 요원
  • 고원상 기자
  • 승인 2022.05.11 16: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1일, 21MW규모 어음풍력발전단지 착공식
지난달 한림해상풍력 착공에 한동·평대 단지도 곧
제주도, 출력제어 해결 인프라 구축 나섰지만?
사진은 제주시 한경면 해상에 있는 탐라해상풍력발전.
사진은 제주시 한경면 해상에 있는 탐라해상풍력발전.

[미디어제주 고원상 기자] 제주도내에서 전력과다생산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의 출력제어가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신재생에너지 생산 시설의 보급은 꾸준히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보급 과다에 따른 잉여전력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은 보급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더욱 시급해지고 있다.

11일 제주도에 따르면 이날 제주시 애월읍 어음리에서 어음풍력발전사업의 착공식이 열렸다.

이 사업은 어음리 산91번지 일원 36만2000㎡ 부지에 총사업비 670억원 가량을 투입, 4.2MW 풍력발전기 5기를 설치하는 사업이다. 총 발전용량은 21MW 규모다. 2023년 5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내에서는 이외에도 각종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의 보급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보다 앞서 지난달에는 한림읍 수원리 앞바다에서 100M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 단지인 한림해상풍력발전단지의 착공이 이뤄졌다. 사업기간은 2024년 12월31일까지다.

그 외에도 구좌읍 한동리와 평대 앞바다를 부지로 한 한동·평대 해상풍력발전사업도 착공을 앞두고 있다. 현재 제주에너지공사와 함께 사업을 추진할 특수목적법인(SPC) 선정이 진행되고있다. SPC 선정이 얼마나 빠르게 되느냐에 따라서 빠르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쯤에 착공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풍력발전만이 아니라 태양광발전사업 역시 곳곳에서 추진되고 있다. 3MW 이상의 대규모 태양광발전사업만 해도 표선발전과 가시리사랑, 아시아그린에너지, 서귀포사랑 등에서 추진하는 80mw 규모의 가시리 발전사업과 18.1mw규모의 위미 발전사업, 100mw 규모의 수망리 발전사업, 한국남부발전에서 주도하는 43.5mw 규모의 가시리 발전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다.

이렇듯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의 보급이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도내에서는 이미 발전시설이 과다보급되면서 잉여전력을 처리하지 못해 출력제어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등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의 출력제어는 풍력발전시설에서 2015년 처음 나타났다. 그 해 모두 3회의 출력제어가 있었다. 그 후 시간이 지날수록 상황은 악화되면서 2020년 기준 출력제어는 풍력발전시설 기준 77회로 불어났다.  이때까지는 민간사업자의 피해를 막기 위해 공공발전시설의 출력제어만 있었다. 하지만 올해는 결국 민간 태양광발전시설까지 멈춰서게 됐다.

이런 가운데 발전시설의 보급만 지속적으로 이뤄지면서 문제가 심화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 꼴이다. 

현재 잉여전력을 처리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은 사실상 없다시피 하다. 제주도에서는 관련 인프라 구축을 위한 움직임에 나섰지만 아직까지는 미미한 수준이다.

우선 지난달 13일 제주와 내륙을 잇는 세 번째 해저 전력 케이블인 제3연계선의 착공이 이뤄졌다.

각각 1998년과 2014년에 구축된 기존 1·2연계선은 ‘전류형’ 기술이 적용돼 한 방향으로 흐르던 전력을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힘들다. 이 때문에 제주도내에서 생산된 전력을 육지부로 전송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다.

하지만 제3연계선은 ‘전압형’ 기술이 적용되면서 제주도내에서 생산된 전력을 육지부로 보내는 것이 원할하게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제3연계선이 구축되면 도내 출력제어가 어느 정도는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3연계서는 내년 12월 완공이 목표다.

도는 이외에도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에도 나선 상황이다. 제주도에 따르면 ESS를 도내에 구축하기 위해서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관련 사업의 공고를 내고 이에 대해 제주에너지공사 등의 기업이 참여, 선정돼야 한다. 하지만 정작 산자부에서는 ESS단지 구축과 관련된 사업 공고를 언제 낼지 미지수다. 제주도가 이와 관련해 산자부와 지속적으로 협의에 나서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뚜렷한 움직임이 없는 상황이다.

도는 이외에도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도는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되게 될 경우 잉여전력 판매 등이 수월해지면서 도내 생산 전력의 수요와 공급을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잉여전력을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및 활용 등의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전력 판매나 그린수소 생산 등의 활용 역시 관련 인프라 구축이 우선이다.

결국 잉여전력을 처리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더딘 상황이 이어지면서, 과다보급에 따른 문제는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