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3-29 15:31 (금)
기후 위기에 재조명되는 제주의 해안생태계
기후 위기에 재조명되는 제주의 해안생태계
  • 양수남
  • 승인 2022.10.26 10: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양수남의 생태적 시선<1>

육지에 숲이 있듯이 바다에도 숲이 있다. ‘바다숲’은 바닷속에서 미역, 톳, 모자반 같은 해조류와 잘피 같은 해초류가 무리 지어 사는 해역을 말한다. 해조류와 해초로 이뤄진 숲이다. 육지의 숲이 그렇듯 바다숲도 해양 생태계의 산실이다. 아니 육지의 숲보다도 바다숲은 바다생태계가 시작되는 근간으로서 더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런데 지구가 더워지고 바닷물의 온도도 높아짐에 따라 해녀들의 소득원인 해조류(모자반, 감태, 천추, 우뭇가사리 등)의 소실 시기가 빨리 오고 있다. 해수온도가 높아지면 해조류가 형성되지 않고 녹아서 분해되기 때문이다. 해조류가 소실된 자리를 아열대성 경산호류와 말미잘 류가 잠식하고 있다. 해조류가 감소하면 해양산성화와 바다 사막화는 더욱 가속화된다.

제주도의 해조류와 해초가 사라지고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바다 속에 잠겨있다 보니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제주바다에 살던 해조류와 해초가 사라지고 그 자리에 갯녹음이 발생하면서 바다 사막화가 진행된 지 오래이다.

바다숲이 사라진다는 것에 대해 관련 전문가들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수온 상승과 함께 해양오염과 개발을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수온 상승이야 전 지구적인 원인이라 치더라도 해양오염과 개발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문제이다. 제주도가 절반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해조류와 함께 바다숲에서 중요한 식물이 있다. 바로 잘피(거머리말)이다. 해초인 잘피는 미역,톳같은 해조류와는 달리 잎, 줄기, 뿌리 기관을 가지고 있는 고등식물에 속하는, 바다 속에 사는 풀이다. 그래서 잘피를 해초(海草), 즉 Seagrass라 부른다.

잘피는 해양생물의 산란장 및 서식지 역할을 하면서 육지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해양 초식동물 등 해양 동물들의 먹이 공급원이 된다. 광합성 기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제공하는 등 생산자로서 건강한 연안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해조류와 해초의 바다숲은 천연 살생물제를 배출해 인간과 해양 생물에 질병을 일으키는 해양 병원성 박테리아를 50퍼센트나 제거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 토끼섬 해역의 잘피숲. 검은색 부분이 잘피숲으로서 광범위하게 분포함을 알 수 있다.
▲ 토끼섬 해역의 잘피숲. 검은색 부분이 잘피숲으로서 광범위하게 분포함을 알 수 있다.

제주지역에는 잘피 자생지를 11곳으로 추정하고 있다. 잘피숲은 여느 해조류처럼 어류의 서식처와 산란 장소가 되어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잘피를 바다 숲 조성에 이용하는 등 매우 중요한 해초에 속한다.

그런가하면 좀 더 내륙 쪽으로 올라가면 염생식물 지대가 있다. 염분을 먹고도 살아갈 수 있는 식물들이 살아가는 지대이다. 기존 내륙식물의 이름 앞에 ‘갯’이 붙어 있다면 염생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테면 갯쑥부쟁이, 갯메꽃, 갯질경이는 내륙에도 자라는 종이 바닷가에 적응한 염생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바다숲과 염생식물 지대는 지구온난화, 해안 개발과 오염 등으로 인해 그동안 상당부분 사라졌다. 그런데 기후 위기 시대에 이곳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바로 ‘블루카본’때문이다.

김녕 덩개해안 바위 위에 자라는 염생식물(우묵사스레피)
김녕 덩개해안 바위 위에 자라는 염생식물(우묵사스레피)

# 기후 위기와 블루카본

블루카본은 2009년 유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출간한 보고서에서 처음으로 언급된 용어로 ‘연안 식물 생태계가 저장·격리하는 탄소’를 뜻한다. 숲, 초원 등 육지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인 ‘그린카본’은 수백 년간 탄소를 저장하는 반면 블루카본은 수천 년 동안 토양에 가둬 놓을 수 있다. 특히 블루카본의 탄소 흡수 속도는 그린카본보다 50배나 빨라 기후위기 대응에 효과적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와 같이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잘피는 1년에 약 500g의 탄소를 고정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한다. 이러한 잘피숲이 사라진다면 생태계와 기후에도 큰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육지의 숲보다 몇 배나 강력한 이산화탄소 포집 능력을 지닌 바다숲은 기후변화를 늦추는 중요한 해양 자원이다. 실제로 제주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탄소중립을 위한 제주형 블루카본 사업모델 모색’ 연구보고서에서 잘피, 염생식물, 패류, 갈조류 등을 블루카본 사업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래서 우리는 바다숲과 염생식물의 주 분포지인 해안사구를 다시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전국에서도 가장 넓은 해안사구를 갖고 있는 곳이었지만 개발로 인해 가장 해안사구가 많이 훼손된 곳이기도 하다. 바다숲도 매립 등의 개발사업과 해양 오염으로 인해 위험에 처해 있다. 기후위기 시대, 이들을 다시 들여다보고 서둘러 보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양수남의 생태적 시선

양수남 칼럼니스트

제주대학교 농업경제학과 대학원(수료)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이어도지역자활센터 친환경농업 팀장
(현)제주자연의벗 사무처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