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92.1% "오염수 방류 반대" ... 관광산업 악영향도 우려

[미디어제주 고원상 기자]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해 제주도민의 96%가 ‘제주 수산업과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냈다. 아울러 수산업 이외의 다른 산업분야에서도 심각한 피해를 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이들이 많았다.
제주미래와연구원은 25일 오전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한 도민인식 조사 결과 분석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번 도민인식조사는 제주도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747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지를 통한 비대면 통신조사를 통해 이뤄졌다. 조사는 지난 19일부터 20일까지 이틀간에 걸쳐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58%다.
먼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방류 결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92.1%가 반대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현실적으로 어쩔 수 없다는 이들은 5.6%,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2.3%다.
성별로는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반대 비율이 높았다. 남성 중 90.7%가 반대 입장을 보였고, 여성 중에서는 94.3%가 반대했다. 연령별로 살펴봤을 때는 40대에서 반대 입장을 보인 이들이 97.4%로 가장 높았고, 20대 이하에서 반대 입장이 80.2%로 가장 낮았다.

도민들은 오염수가 방류될 경우 제주 생태계와 수산업에 심각한 수준의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로 제주 수산업과 해양 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96.5%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심각하지 않다’는 응답은 1.6%에 불과했다.
아울러 오염수 방류 후 제주 수산물 구매 의향을 묻는 질문에서는 응답자의 57%가 ‘방사능 안전성이 인증된 수산물에 한해서 구매하겠다’는 입장을 보였고, 26.2%는 모든 해양수산물을 구매하지 않겠다’고 응답했다. 또 응답자의 11.1%는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산물 구매를 조금 줄이겠다’고 답했다.
오염수 방류에 상관없이 수산물을 평소처럼 구입하겠다는 이들은 2.4%에 불과했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를 봤을 때 오염수 방류에 따라 제주도내 수산업계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염수 방류에 대한 악영향은 다른 산업에서도 나타날 것으로 우려도 상당했다.
원전 오염수 방류가 제주관광 산업에 미칠 영향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65.2%가 “심각한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했고, 27.4%는 “현재보다 다소 침체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현재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은 5.2%에 그쳤다.
오염수 방류에 대한 정부의 대응에 대해서도 ‘반대 의견을 표명하고 방류를 막아야 한다’는 의견이 71.9%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 ‘주변 나라와 협력해 객관적인 방사능 검사를 한 뒤 방류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48.7%, ‘방사능 검사에 한국 정부 전문가가 반드시 참여 후 결정해야 한다’가 43.8%, ‘국제원자력기구(IAEA) 결정에 따라야 한다’가 7.1%였다. ‘일본의 기준에 따라야 한다’는 답변은 0.3%에 불과했다. 문항은 중복 응답이 가능했다.
또 제주도정의 대응 방안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원산지 표시 강화 및 방사능 안전성 인증제를 실시해야 한다’는 응답이 61.7%로 가장 많았고, ‘일본산 수산물을 전면 금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55.4%로 뒤를 이었다. 또 ‘수산업과 관광업, 해녀 및 소상공인 등의 피해실태를 조사해 지원해야 한다’는 응답도 35.3%였다. 이 역시 중복 응답이 가능했다.
피해보상 책임과 관련해서는 77.4%가 당연히 일본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했고, 18.1%는 대한민국 정부의 책임이라고 응답했다. 1.3%는 제주도의 책임이라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