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26 21:11 (금)
“법화사는 제주도민의 것이 아닌 지배자 몽골인들의 것”
“법화사는 제주도민의 것이 아닌 지배자 몽골인들의 것”
  • 김형훈 기자
  • 승인 2012.01.14 12: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물관 30선] ⑨ 법화사 터에서 나온 유물…용과 봉황무늬 막새

법화사 터에서 발견된 유물
역사학자들은 고민이 많다. 그 고민은 ?’라는 의문을 늘 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나의 사실을 향해 외치는 ?’가 많아지면 그 사실은 사실과는 멀어지기 마련이다. ‘?’라는 고민은 그만큼 역사적 사실이 빈약할 경우에 사학자들이 던지는 의문에 다름없다. 서귀포시에 위치한 법화사도 그같은 ?’를 던진다.

법화사와 관련된 숱한 고민 가운데 2가지를 던져 본다. ‘왜 지어졌을까왜 명나라가 관심을 뒀을까에 있다.

법화사는 중창(重創)’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 역사적 의미에서 중창은 그 자리에 새로운 건물을 짓는 경우를 말한다. 중창을 하게 되면 같은 모습 그대로 건축을 하기도 하지만 원래 모습과는 다르게 세워지기도 한다.

의문을 뿌리던 법화사는 제주대학교박물관이 지난 1992년부터 3~8차 발굴조사를 하면서 실체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그 때 명문이 발견된다. 그 명문은 지원 6년에 중창을 시작해 16년 기묘년에 끝냈다(至元六年己巳始重創十六年己卯畢)’였다. 3차 발굴조사에서는 기묘년에 중창을 끝냈다는 重創十六年己卯畢명문만 발견됐으나 7·8차 조사를 거치면서 至元六年己巳始라는 기와가 추가로 발견돼 중창의 시작연도를 알게 됐다. 지원(至元)은 쿠빌라이 칸(원나라 세조)의 연호로 지원6년이라면 1269년이 된다. 이 때 우리나라는 고려 원종 10년에 해당된다. 중창이 마무리되는 기묘년은 충렬왕 5년인 1279년이다.

당시 국제적 상황은 고려와 원나라 모두 도움이 필요한 때였다. 원종은 자신의 입지 강화를 위해 원나라의 도움이 절대적이었고, 원나라 역시 고려의 도움을 받아 일본을 제압하려는 의지가 강한 때였다. 1269년은 삼별초의 항쟁이 본격화되기 1년전이었다.

복잡한 국제적 정세 속에 끼어들어간 건 다름 아닌 제주도였다. 제주도는 삼별초의 항쟁이 마무리된 원종 14(1273)부터 원나라의 직할령이 된다. 법화사의 중창은 제주도가 원나라 직할령으로 되기 직전이지만 이미 제주도는 원나라의 영향력이 미쳤다고 봐야 한다. 바로 법화사 터에서 나온 유물이 말해준다. 숱한 의문 속에 법화사 발굴 결과 나온 유물이 던지는 시사점은 크다. 법화사 터에서 나온 대표적인 유물 가운데 눈에 띄는 건 용무늬 암막새와 봉황무늬 수막새다. 이들 막새는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사찰 건물에서는 발견된 예가 없다. 북한의 사회과학원고고학연구소가 펴낸 조선고고학개요에 따르면 고려 도읍지인 개성 만월대에서 법화사의 막새와 비슷한 유형의 것들이 발견된 예가 있을 뿐이다. 이 유물은 또한 몽골의 콩두미궁전에서 발견된 막새와 같은 유형이라고 한다.

용무늬가 그려진 암막새.
봉황무늬가 그려진 수막새.
그렇다면 법화사엔 왜 용무늬 암막새와 봉황무늬 수막새를 썼을까. 몽골의 궁전과 고려의 왕궁인 만월대에만 나타나는 이들 막새가 법화사 터에서 나왔다는 점은 법화사가 존재 가치가 매우 귀했음을 읽히게 한다. 제주도는 몽골의 직할령으로 소중했고, 법화사는 사찰의 의미를 뛰어넘는 가치가 있다는 점을 용무늬 암막새와 봉황무늬 수막새가 말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100년간 지속된 몽골의 제주도 지배는 몽골 스스로도 제주도를 섬으로서의 가치가 아닌, 그 이상의 가치를 제주도에 부여했다고 봐야 한다. 하지만 법화사는 제주민들의 것은 아니다. 제주에 들어온 몽골인들을 위한 것이었고, 몽골인들은 법화사에 그들 나라사람이 만든 아미타불3존상을 앉혔다. 그건 지배자의 역사였다.

그렇게 잘 나가던법화사였으나 고려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상황은 달라진다. ‘억불을 외친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제주도내에 있는 절은 퇴화된다. 법화사는 노비를 280명을 거느릴 정도로 제주에서 가장 큰 절이었지만 쇠락의 길을 걷는다.

그 와중에 명나라 사신이 찾아와 법화사에 앉혀진 아미타불3존을 가져가는 일이 발생한다. 여기에서도 역시 ?’라는 의문이 발동할 수밖에 없다.

태종 때 명나라 사신으로 조선을 찾은 황엄이 황제의 칙서를 전한다. 당시 명나라 황제는 최고의 전성기를 달리던 영락제(재위 14021424)였다. 명나라는 왜 불상을 가져갔을까.

짐이 죽은 아비와 어미의 은덕을 생각해 제전을 열고자 한다. 특별히 사례감 태감(司禮監太監)인 황엄 등을 보내 그대 나라와 탐라에 가서 동불상을 구하려 한다. 잘 도와 성사시켜 짐의 뜻에 부응하도록 하라.(朕重惟先皇考皇妣恩德 欲擧薦揚之典 特遣司禮監太監黃儼等 往爾國及耽羅 求銅佛像數座 尙相成之 以副朕意)”<태종실록 11, 태종 6(1406) 419>

명나라 사신이 법화사의 동불상을 요구하는 영락제의 칙서를 전한 사실이 조선왕조실록에 실려 있다. 붉은선이 관련 내용이다.
명나라 역시 조선과 더불어 불교를 찬양하지 않았지만 방식은 달랐다. 명나라는 다른 종교를 부활시키며 불교를 억제했다면, 조선은 불교 자체를 없애려 했다. 그러나 명나라의 영락제는 불교를 좋아했던 인물이다. 그는 부모를 위해 제주의 법화사에 있는 불상을 원했다.

명나라 사신은 칙서를 전한 다음날 태종이 베풀어준 연회에서 이렇게 덧붙인다.

제주에 있는 법화사의 미타삼존은 원나라 때 뛰어난 장인이 만들었다. 우리가 가서 취하는 게 마땅하다.(濟州法華寺彌陀三尊 元朝時良工所鑄也 某等當徑往取之)”<태종실록 11, 태종 6(1406) 420>

그러자 태종은 명나라가 동불이 아닌, 제주도에 더욱 관심이 있다는 생각에 황엄 등 명나라의 사신이 제주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태종은 박모와 김도생 등을 시켜 법화사의 동불을 가져오게 만든다. 그 작전은 17일만에 이뤄지고, 이들은 재빨리 동불을 옮긴 공로로 관직을 받게 된다.

태종은 왜 명나라 사신이 제주도에 들어가는 걸 용납하지 않았을까. 제주도는 몽골의 지배를 100년간 받았고, 그 사실을 알고 있는 명나라가 혹시 제주도를 탐하지 않을까라는 우려를 했다는 연구가 있다. 태종실록에도 그런 우려가 실려 있다.

태종의 우려도 이해가 되지만 이후 명나라 사신인 황엄의 행적을 보면 그렇지도 않다. 황엄은 수차례 조선에 사신으로 오며, 올 때마다 영락제의 칙서를 전한다. 황엄은 불교 관련 칙서를 전하기도 하고, 자신이 발길을 옮기며 직접 불상을 가져가기도 했다.

황엄은 이듬해 조선에 와서 영락제의 칙서를 또다시 내보인다. 이 칙서엔 태종의 아버지인 이방원이 가지고 있는 사리를 탐하고 있다.

들으니 왕의 아버지가 전에 사리를 가지고 있었는데, 천보산 등지에 있다고 한다. 지금 태감 황엄 등을 시켜 그것을 맞아오게 하려니 하나하나 보내 줄 수 있겠는가?(聞王父舊有舍利 在天寶山等處 今令太監黃儼等迎取 可一一發來)”<태종실록 13, 태종 7(1407) 518>

영락제는 진정 제주에 욕심이 있었을까? 그렇다면 조선왕조실록에 제주를 탐하려는 내용이 나와야 하는데 동불상을 가져오라는 것 밖에 없다. 때문에 제주도를 탐하려 했다는 건 억측일 수도 있다.

여기에 새로운 억측을 덧붙이면 영락제의 어머니가 고려인이었다는 추정이 있다. 그래서 그는 죽은 어머니를 위해 조선 땅에 있는 불상과 사리 등을 원했는지도 모른다.

아무튼 역사적 사실은 사료나 유물을 통해 나온다. 법화사가 몽골인의 것이었다는 건 여기서 나온 유물을 통해 알려졌다. 그런데 왜 제주에는 그렇게 큰 절들이 사라졌을까. 아무리 조선이 억불정책을 썼지만 다른 지방의 큰 절은 지금까지도 남아 있다. 하지만 제주도의 사정은 판이하다. 법화사를 비롯한 제주도내의 큰 절이 사라지는 운명을 겪은 건 제주도민의 정서가 불교와 맞지 않았을 수도 있다. 지금도 그렇지만 제주도는 불교라는 종교보다는 신당으로 통하는 토속적인 종교가 더욱 강했다는 사실이다.

<김형훈 기자 / 저작권자 미디어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