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했으나 제주도정의 보여주기식 구태는 여전하다.
27일 오후 4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제자유도시를 향한 도민 통합 대토론회-김태환 제주특별자치도지사에게 듣는다'는 그 취지를 무색케 했다.

토론회는 김태환 지사의 기조연설, 그리고 지정 및 자유토론 순으로 100분에 걸쳐 진행됐다.
그런데 문제는 이날 참석자 범위다.
제주도는 '도민 대화합'을 슬러건으로 내세웠으나, 이날 토론회에서 일반 도민은 찾아볼 수가 없었다.
제주도는 이날 행사를 위하여 토론자 지정은 물론 참석대상을 분야별, 계층별로 250명 안팎으로 설정했다.
관광, 경제, 서비스업, 환경, 보건, 복지 등 분야별로 몇명씩 참석을 유도하고, 계층별로는 관광업 종사자와 소상공인, 장애인, 학생, 농축수산업 종사자를 선별해 참석하도록 한 것으로 전해졌다.
종전 70여명의 제주도민화합추진위원회를 구성할 때도 작위적으로 '입맛에 맞는' 인사들만을 선택해 위원회 구성을 했던 그 발상이 이번에 또다시 나타난 것이다.
물론 이날 토론회에서 참석하려는 일반 도민들을 가로막았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날 토론회에는 많은 도민들의 참석을 유도하지도 않았다. 장소도 제주국제컨벤션센터다. 작정하기 참석하지 않는다면, 참석하기 어려운, 일반 도민들과는 접근성이 떨어진 곳을 선택한 이유도 모르겠다.

차라리 지정된 토론자로 하여금 서면으로 하고 싶은 말 다 적도록 하여 접수받는 편이 낫지 않을까. 꼭 외형적인 측면, 형식적인 측면에 그토록 신경을 썼어야 했나.
이러한 토론회를 주최하는 제주도당국이 참으로 한심할 따름이다. 그 보다도 토론회나 각종 위원회, 요즘 하나의 유행처럼 남발되어지고 있는 태스크포스팀 구성, 그 내면을 하나하나 들여다보면 '그 사람이 그 사람'이어서 고개를 갸우뚱하게 한다. 마치 '선택받은 도민'들만 끼어들 수 있는 자리인 마냥 착각을 불러온다.
#'도민 대통합' 토론회가 아니라 '선택받은 도민들만의 토론회'
오죽했으면, 김태환 제주도정을 보고 소위 '위원회 행정' 너무 좋아한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오겠는가. 이날 토론회는 '도민 대통합'을 위한 토론회라고 명명하는 것부터 문제가 있다. 차라리 '선택받은 도민들만의 토론회'라고 고쳐 부르는게 낫지 않을까.
화합과 통합을 위해서는 위원회도 만들어야 하고, 태스크포스팀도 만들어야 화합이 잘 되나. 도민정서를 작위적으로 해 보겠다는 그 발상부터가 잘못된 것은 아닐까. 또한 그런 위원회나 태스크포스팀에 끼어들었다 해서 마치 제주사회에서 행세 깨나 하는 듯하게 부화뇌동하는 위원들도 마찬가지다.
김태환 도정은 더 이상 '통합'과 '화합'이란 말로 도민들을 우롱하지 말고, '위원회 행정'이나 "TF 행정'이니 하는 가식적인 제스처를 중단해야 한다. 오히려 제주도정이 그러한 가식적인 제스처를 보임으로써 '도민통합'이 아니라 '위화감'과 '불신'만을 조장하고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